728x90
반응형

스크래치 15

[스크래치] 제곱수 판별

스크래치에서 제곱수를 판별하는 코드에 대한 내용을 다룬 글입니다. 제곱수란?사전적 정의부터 보면 "어떤 수를 제곱하여 얻은 수" 입니다.즉, 1, 4, 9, 16, 25, 36, ... 과 같은 수를 의미합니다. 이 제곱수들을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스크래치로 구현해봅시다.제곱수는 자연수를 제곱한 수이므로, 다시 그 수에 제곱근을 씌우면 자연수가 되는 성질을 이용할 것입니다. 1. 연산 블록 탭에서 아래 이미지 블록을 가져와줍니다.2. 절댓값이 아닌 제곱근으로 변경합니다.   16은 4의 제곱이므로, 제곱근 16의 값은 아래와 같이 깔끔한 자연수 값을 가집니다. 그러나, 17과 같은 수들은, 자연수의 제곱으로 값을 가질 수 없으므로, 깔끔한 자연수의 값을 가지지 않습니다. 제곱수의 제곱근 값과, 제곱수가 아..

스크래치 2024.11.21

[스크래치] 마우스 포인터와 같이 움직이는 스프라이트 만들기

아래와 같이 마우스 포인터를 계속해서 따라다니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1. 이벤트 블록에서 깃발을 클릭했을 때의 이벤트 블록을 가져와주세요.2. 제어 블록에 있는 무한 반복하기 블록을 깃발을 클릭했을 때의 이벤트 블록과 연결해주세요.3. 동작 블록에 있는 "무작위 위치" (으)로 이동하기 블록을 가져온 후,"무작위 위치" 에서 "마우스 포인터"로 변경해주세요.마지막으로, "마우스 포인터" (으)로 이동하기 블록을 무한 반복하기 안으로 넣어주세요.감사합니다.

스크래치 2024.09.02

[스크래치] 한 글자씩 말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스크래치에서 한 글자씩 말하는 효과를 구현해보겠습니다. 전체 코드부터 보여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변수 3개를 준비해주세요. 저는 이렇게 3개의 변수를 생성했습니다. 첫 번째 변수는 스프라이트가 할 말을 적어주세요. 두 번째 변수는 1을 넣어주세요. 세 번째 변수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유지해주세요. 한 칸의 공백도 있으면 안됩니다. 두 번째로 다음 사진처럼 반복문을 사용해주세요. 세 번째로 다음 사진 처럼 작성해주세요. 스프라이트 입장에서 "안녕하세요" 라는 말을 읽으려면, 처음에는 "안" 을 읽고, 그 다음에는 "안녕" -> "안녕하" -> "안녕하세"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렇게 차례차례 읽어야 합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아무 값도 없는 Temp_2와 말 해야 할 텍스트의 1번 째..

스크래치 2023.01.10

[스크래치] 글자 수 세기 (공백 포함/제외)

스크래치에서 글자 수를 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글자 수를 세서 나오는 값은 2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공백을 포함한 글자 수고, 두 번째는 공백을 제외한 글자 수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두 가지 값을 모두 구할 수 있는 코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공백을 포함한 글자 수를 구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백을 포함한 글자 수를 구하는 코드는 정말 간단하지만, 공백을 포함하지 않고 글자 수를 구하는 코드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일단 코드부터 보여드리곘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글에서 공백의 개수 값을 얻고, 전체 글자 수에서 공백의 개수만큼 빼주는 원리입니다. 자세한 설명 보러가기

스크래치 2022.09.18

[스크래치] 스크래치에서 변수 값와 텍스트를 같이 합쳐서 넣기

스크래치에서 변수 값와 텍스트를 같이 결합에서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사용할 블록은 연산 블록에 "가위"와 "나무" 결합하기 라는 블록입니다. 너무 간단해서 딱히 설명할 부분이 없습니다. 예시 코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위에 예시 코드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금 더 나아가서,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 변수 값을 넣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코드처럼 결합하기 블록 2개를 합쳐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스크래치 2022.09.18

[스크래치] 부등호 (이상, 이하, 초과, 미만) 블록 사용하기

[스크래치] 부등호 (이상, 이하, 초과, 미만) 블록 사용하기 스크래치에서 이상, 이하, 초과, 미만을 구현해봅시다. 이 4개의 블록만을 사용해서 ~이상, ~이하, ~초과, ~미만 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초과와 ~미만은 이 2개의 블록만으로 바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다음 예시와 같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 예시에서는 키가 120 초과일 때 놀이기구에 탑승할 수 있도록 코드를 만들었는데 그럼 반대로 키가 120 이하인 경우도 만들 수 있어야겠죠? 이하 블록은 아래 코드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하는 같거나 작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 코드와 같이 50이거나, 50보다 작다. 라고 코드를 작성해주면 50 이하라는 의미를 가진 코드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 2022.09.18

[스크래치] 무작위 수 뽑기

스크래치 무작위 수 뽑기 스크래치에서 무작위로 숫자를 뽑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연산 블록에 가보면 1 부터 10 사이의 난수 라는 블록이 있는데, 그 블록을 사용하면 됩니다. 말 그대로 1 부터 10까지의 난수(무작위 수)를 뽑는 것 입니다. 1과 10이 써져있는 자리에 넣고 싶은 숫자를 넣어서 범위를 지정해준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록을 이용해서 무작위의 숫자를 뽑는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들어보겠습니다.

스크래치 2022.09.18
728x90
반응형